728x90
반응형
변액유니버셜보험 추가납입은 언제 얼마까지 가능한가.?
보험료를 추가납입하는 것이 더 좋은가 ?
당연합니다.
가입자가 낸 보험료는 모두 특별계정에서 운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중 일부는
일반계정에서 운용됩니다.
즉 보험회사 운영에 필요한 사업비는 일반계정에서,
펀드에 투자할 적립금액은 특별계정에서 운용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보험원리상 사업비를 가입 후 7년 이내에 공제하기 때문에 맨 처음 납입한
기본보험료에 대해서는 사업비가 많이 발생하여
특별계정에 투입되는 보험료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이 경우 회사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약 20% 정도는
사업비와 위험보험료(사망보험금 재원)로 지출되고 약 80% 정도만 특별계정에
편입됩니다.
그런데 보험료를 추가납입하게 되면 사업비가 별로 안 들어갑니다.
그래서 추가납입 보험료 납입시 펀드에 투입되는 금액은
추가납입 보험료의 95~98%나 됩니다.
따라서 당연히 추가납입을 통해 수익률을 극대화해나가야 합니다.
물론 취급 회사마다 다소 다르므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보험료 추가납입은 언제 가능한가 ?
보험료 추가납입은 1회 보험료가 들어간 즉시(계약성립 후 )가능합니다.
따라서 해당월 기본보험료를 납입한 이후에는
판매회사가 정한 연간 추가납입 한도 안에서 언제든지 수시로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때 계약해당일의 전일까지는 전월분 기본보험료가 납입된 것으로
보아 추가납입이 가능하지만 계약해당일 이후는 당월분의 기본보험료가
입금된 후에만 추가납입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계약일자가 5월 5일인 계약의 경우 5월 4일까지는
전월분 보험료가 입금되었을 경우 즉시 추가납입이 가능하지만,
5월 5일 이후는 당월 보험료가 먼저 입금된 후에 추가납입이 가능합니다.
보험료 추가납입은 얼마까지 가능한가 ?
보험료의 추가납입 한도는 대부분 보험회사에서
연간 납입 가능 기본보험료의 2~3배까지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추가 납입 한도가 기본보험료의 3배라고 가정할 경우,
매월 납입 기본보험료가 50만원 이라면
연간 추가납입이 가능한 금액은 50만원 X 12개월 X 3 배 = 1,800만원이 되는 것입닌다.
(이는회사마다 약간씩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보험료 추가납입시 가입자가 별도로 펀드신청을 하지 않으면
기본 계약에 설정된 펀드의 투입비율에 따라 자동배분되어 투입됩니다.
물론 가입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특정펀드에만 투입한다거나
원하는 펀드비율로 분산투입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차가납입시 DCA옵션을 활용하면 정해진 기간에 균등분할 투자도
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추가납입을 하면 사망보험금이 변동하는가 ?
변액유니버셜보험의 사망보험금은
'보장계약의 보험가입금액 + 사망 당신의 계약자 적립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보험료를 추가납입할 경우 당연히 사망보험금은 증가합니다.
그러나 보험료를 추가로 납입했다고 해서 보험가입금액이 변동되지는 않고
단지 계약자 적립금이 증가합니다.
즉, 사망보험금의 총액이 늘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경우 부리 적립되는 시스템은 기본보험료의 흐름과 같습니다.
또 기본계약의 최저사망보험금보증과 마찬가지로 추가납입 보험료도
최저 사망보험금보증은 그대로 적용됩니다.
반응형